르호봇 성경지명 설교자료

[성경 지리 성경공부 말씀] 구약 성경의 가나안 경계와 이름들

르호봇 2024. 3. 22. 13:40
반응형

성경 지리 성경공부 말씀은 구약 성경에 나타나고 있는 가나안 경계와 이름들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가나안 땅은 이스라엘 백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약속했는데 가나안 땅을 후손들이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브라함에 언약하기를 사대 만에 후손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간다고 했습니다. 여호수아와 다윗과 솔로몬에 이르기까지 가나안 땅을 완전히 정복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살게 되었습니다.

 

가나안의 경계와 이름들 (Boundaries and Names)

 

가나안의 동, , 남쪽 삼면은 천연의 경계를 형성한다. 서쪽으로는 지중해 곧 성경에서 말하는 대해가 있으며 동쪽과 남쪽으로는 사막이 놓여 있다. 지중해는 언제나 가나안의 영구적인 경계선이었지만 요단 계곡과 사해는 가나안(cisjordan-요단 서편)의 일반적인 동쪽 경계를 이루었다.

사막은 바다처럼 그 경계선이 분명하거나 영구적이지 않다. 자연의 활동에 의해서도 경계는 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나안 땅에 이미 세력을 떨친 민족에 따라서도 그 경계는 자주 바뀌었다. 더우기 동쪽으로 정확한 경계를 정하기 어려웠던 이유는 사막이 너무 광활하게 펼쳐져 있으므로 그 모든 경계 구역을 동시에 통제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나안의 남쪽 상황은 이와 다르다. 가나안의 남쪽에는 이미 거대한 힘을 형성한 이집트와 가나안의 북쪽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상호 연결하는 국제 해변 도로가 가나안의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기에 남쪽 사막 지역은 가나안과 이집트간의 분명한 경계를 필요로 하였다. 특히 지중해에 접해 있는 해안쪽으로는 더욱 그러하였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가나안의 남쪽 경계는 라피야의 남쪽 약 30miles (48Km) 정도 떨어진 와디 엘 아리쉬(Wadi el-Arish)를 가리키는데 이 와디는 시나이 반도북쪽에서 시작하여 서쪽 지중해로 향하는 계절천이다. 성경에는 Wadi el-Arish를 가리켜 이집트 시내(애굽시내- the Brook of Egypt)라 하였으며 성경 외 앗수르의 기록(Nahal Musur)에도 나타난다.

Wadi el-Arish보다 더 남쪽에 형성된 경계는 나일 삼각주의 동쪽변에 위치한 Sile(이집트의 기록에는 tr로 나타나 있다)로써 이곳은 이집트와 시나이 사막이 서로 맞 닿은 곳에 위치해 있다. 고대에는 나일강의 여러 지류 가운데 가장 북쪽에 치우진 것이 이 지역을 지나갔다.

Seti I세의 기록을 보면 the dividing water 라고 부르는 수로의 두 지류위에 세워진 요새를 가리켜 Sile라 기록하고 있다. 'Sile' 역시 성경에도 나타나는데 창세기 1518절에는 '이집트 강' 이라고 되어 있으며 역대상 13: 5에는 '시홀 시내'라 되어 있다.

가나안과 시리아와의 경계에 해당하는 가나안의 북쪽 경계를 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서쪽으로는 높은 레바논 산지들이 있고, 동쪽으로는 헐몬산과 시리아(Anti-Lebanon)산지가 있어 천연의 가나안 북쪽 경계를 이루지만 페니키아의 해변이나 베카 계곡쪽으로는 경계를 정할 만한 아무런 뚜렷한 지형 지물이 없다. 단지 타우루스와 아마누스의 산지들만이 북쪽과 북동쪽 멀리 유프라테스의 넓은 지역에까지 펼쳐져 있어 시리아의 북동쪽 천연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 고작이다.

사실 가나안의 북쪽 경계는 민족과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그 경계가 수시로 바뀌어져 온 것이 사실이다. 어느 시대에서는 가나안과 시리아 사이에 아무런 경계가 없었던 경우도 있었다. 당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점령하는 시기로써 그 이전에는 가나안 전체 지역을 하나로 통일시킨 단일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가나안과 시리아의 북쪽에는 메소포타미아 제곡이 그리고 남쪽에는 이집트와 같은 고대의 강대국들은 가나안 땅을 자신들의 세력을 넓힐 수 있는 하나의 무대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1) 가나안을 지칭하는 여러 명칭들

가나안을 일컫는 명칭들은 여러 시대를 걸쳐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그 각각의 이름들은 가나안의 경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때로는 그 이름이 관찰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가나안을 지칭하는 여러 명칭들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의 문서에서 주로 발견된다. 대부분의 이름들은 팔레스틴과 시리아를 하나의 영토로 이해한다.

(1) Hariu-sha

이집트의 제 6왕조에 해당하는 고 왕국(the Old Kingdom)시대의 Weni 무덤에 는 'Hariu-sha' 라는 이름이 나타난다. 그 이름이 품고 있는 의미는 'the land of the Sand Dwellers'로써 여기에서 말하는 '모래 땅'이란 시나이 사막과 가나안 해안평야를 가리키는 말로써 이집트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한 경멸적인 어조가 담긴 표현이다. 6왕조에 들어서 이집트인들은 육지와 바다를 거쳐 안전한 해안선을 따라 가나안으로 진출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그 명칭으로 미루어 'Hariu-sha'의 경계가 어디까지 미쳤는지는 정확히 아는 바 없다. 이집트인들은 아시아의 거민들을 가리켜 'Aamu라 하였으며, 페니키아인들은 Fenhu라고 불렀지만 그것의 정확한 의미는 아직 불투명하다.

(2) the land of Amurru

주전 3-2천년의 메소포타미아 문서에는 the land of Amurru 라는 이름이 나타난다. '서쪽' 또는 '서쪽 땅'의 의미를 갖는 the land of Amurru는 지중해(the sea of Amurru) 멀리 유프라테스의 서쪽 모두를 가리킨다. 주로 시리아의 북쪽 지역을 일컫는다해도 역시 그 명칭이 갖는 주된 의미는 가나안과 시리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곳의 거민들을 아모리 족속(the men of Amurru)이라 불렸다. 수메르, 아카디안, 초기 바벨론, 그리고 앗수르의 기록들을 중요시 취급않는 이유는 고대에 그들의 영향력이 가나안까지 미처 미치지를 못하였기 때문이다.

주전 21세기 수메르의 Lagash왕인 Gudea는 아마나 산지로부터 건축에 필요한 재목과 돌들을 두 산으로부터 구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그 중 한 산은 아모리 산지에 있는 Basalla를 가리킨다.

주전 18세기말의 Mari문서에 의하면 AmurruQatna의 남쪽에 이미 연합정부를 형성하였으며 하솔(Hazor)이 그 대표적인 성읍에 속하였다.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Amurru는 레바논의 중심부를 차지하였다. 페니키아 해안의 Sumur에서 Beqa에 이른 사실은 오래전부터 가나안을 점령하였던 아모리 족속의 넓은 영역을 말해 준다. 가나안 땅을 가리키는 성경의 명칭가운데 하나인 '아모리 족속의 땅'이란 가나안과 시리아의 일부를 포함하였던 고대의 명칭에서 유래된 것이다.

(3) Retenu

이집트의 중왕국(Middle Kingdom)에 해당하는 제 12왕조의 쿠후세벡(Khu-Sebek)이란 이집트 관료 비문에서 'Retenu'라는 이름이 발견되며 그 명칭은 이후 신왕국 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가나안과 시리아를 포함하는 Retenu는 이집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며 유프라테스의 북쪽 Mitanni와 그 경계를 이루었다. 상부 이집트와 하부 이집트처럼 레테누는 상부 레테누와 하부 레테누로 나누어 졌다. 그러나 어느 지역을 경계로 하여 상 하 레테누로 나뉘어졌는지는 확실지 않다. 이스르엘 평야가 그 경계라는 해석도 있는 반편 그 이름의 기원과 해석하는 과정에서 전혀 다른 견해도 있다. 가령 이집트의 자음인 r-t-n 은 셈어의 자음으로는 r/l-t/d/z-n 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것에 대한 정확한 음가를 규정하는 일은 대단히 어렵다. Alt는 그 이름이 가나안의 해변길(Via Maris)에 있는 성읍 Lod(ldn)으로 생각하였으며 AlbrightLuz(lzn)즉 벧엘과 관계가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어떻게 이런 도시들 중의 하나가 가나안과 시리아 전체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사용되었겠는가 하는 점에는 대단히 회의적이다. 오히려 우리들의 관심은 Retenu가 성경의 Lotan(36:20,22,29.대상1:38)을 가리킨다는 Gardiner의 견해가 보다 설득력이 있다. Gardiner는 바로 그 명칭속에 Retenu에 대한 의미와 소리가 음성적으로 포함돼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Mazar 교수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Retenu에 대한 견해와 전혀 다른 입장을 갖는다. RetenuRazanu로 읽을 수 있으며 그 의미는 'the land of the rulers(mynzwr)'이다. hq-h swt의 이집트어는 그 뜻이 'the ruler of a foreign land'를 가리킨다. Sinuhe의 이야기1 에서 Retenu의 통치자 가운데 한 사람의 이름이 바로 위에서 언급한 동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또 Hyksos라는 이름(헬라어 형태로는 hq h swt가 된다)역시 한 때 이집트를 지배했던 통치자들의 명칭으로 이집트의 기록에 남아 있다.

(4) Djahi

이집트의 신왕조(the New Kingdom)때는 'Djahi(d-h)'라는 명칭이 발견된다. Djahi라는 명칭의 어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그 명칭은 가나안과 시리아 전체를 일컫는 대표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5) the land of Hurru

이집트의 신왕국(the New Kingdom)때에 나타나는 또 다른 명칭인 'the land of Hurru(h-r)'는 호리 족속의 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우리는 그 명칭이 가지고 있는 어조로 보아 the land of Hurru는 이집트의 Hyksos 통치 당시 가나안에는 이미 종족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전 15-14 세기의 많은 문서들 역시 가나안의 많은 통치자들이 호리 족속의 이름을 사용했음을 알려 준다. 그러므로 가나안의 여러 지역및 성읍들은 아마도 북쪽으로부터 이주해 온 호리족속들에 의해 점령당한 것이 분명하다.

(6) the Land of Canaan

이집트의 신왕국(the New Kingdom)때에 역시 'the Land of Canaan'이라는 또 다른 명칭이 등장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가나안' 이란 종족이 고대 문서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곳은 군대의 한 장군이 Mari 왕에게 보낸 Mari문서이다. 그 내용을 보면

'약탈자(habbatum)와 가나안 사람(men of canaan)들은 Rahisum도성에 있는데 반해 장군과 Mari의 군사들은 그들과 대치한 상태에서 근처에 진을 치고 있었다'.

비록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료가 Mari문서에 제한되기는 하지만 적어도 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이미 '가나안'이라고 하는 지정학적인 실체가 이미 중기 청동기(the Middle Bronze Age)시대에 이 땅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가나안이라는 이름은 'Idrimi의 비문'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Alalakh의 왕으로서 권좌에서 추방당했을 때 자신의 도피처를 the land of Kin'ani(m)에 있는 Ammiya에서 찾았는데, Amarna문서는 이 도시가 페니키아 해안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가나안인들은 시리아의 북쪽 the Kingdom of Alalakh의 왕실 기록에는 이방인들(foreigns)로 나온다.

가나안인이 이집트문서에서 발견되는 첫 기록으로는 Amenhotep II(1430B.C.)의 전리품 품목가운데 가나안인은 레테누의 귀족들에 포함되어 나타난다. 성경에서는 가나안인이 '귀족들과 상인들(23:8,12:7,1:11,11:7,41:6)' 로 나타나는데 이는 고대의 의미가 성경에 보존된 한 예라 할 수 있다.

Nuzi(15th century B.C.) 문서에는 'kinahu'라는 단어가 나타나는데 여기에서의 의미는 '자주색(purple)'을 가리킨다. 이곳의 철자와 Amarna문서에 나오는 아카드어인 kinahna,kinahhi와는 서로 다르지 않다. 자음인 'h' ayin의 반향으로 사용됐으며 Amarna 토판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바다 조개(murex)로 부터 자주색 물감을 축출해 내는 일은 페니키아 해안에서의 가나안 사람들의 일반적인 업 중의 하나였으며 이를 가지고 훌륭한 옷감을 염색하는 일은 고대 동방에서 매우 유행하였다. 이런 특별한 일로 말미암아 가나안은 자주빛이라는 의미를 갖게 된 것이 틀림없다. 그러므로 페니키아 해안은 호리인들에 의해 자주빛 땅(the land of the purple)이라고 불려지게 됐으며 그 이름은 Hurru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되었다.

헬라어에서도 우리는 페니키아라는 단어의 발전 형태를 볼 수 있다. 'Phoenicia'는 다름아닌 자줏빛(purple)에서 온 말이다. 성경에서도 가나안이라는 지리적인 한계 영역내에서 그와 같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성경에는 요단 서편의 아모리 사람의 모든 왕과 해변의 가나안 사람의 모든 왕 (5: 1) 이란 표현으로 아모리 사람과 가나안 사람을 서로 구분하고 있다 (참고. 23: 11).

그러나 B. Landesberger의 견해는 이와 다르다. kinahhuqinahhu라고 읽을 수 있는데 이는 수메르어인 gin=아카드어는 uqnu,우가릿어는 iqnu,시리아어는 '(a)na'(a)/qun으로 그리고 헬라어로는 와 동일한 것들로 본다. 그러므로 kinahhuCanaan과 연결시켜 살펴보는 일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성경에서의 몇몇 구절들은 북쪽 요단 계곡을 해안 평야에 포함시키며 이 두 지역들을 Canaan이라는 한 이름으로 묶어 두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가나안인은 해변과 요단 가에 거하더이다(13:29,11:3)" . 요단 계곡과 페니키아 해변은 단 족속에 의해 Laish점령에 관한 이야기에서도 은근히 비쳐진다(18:7,28).

가나안(kinahhi,kanahna,kinahni)El-Amarna문서에는 자주 나타난다. 물론 여기에서 말하는 가나안의 일차적인 의미는 페니키아 해안을 가리키지만 그러나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가나안과 시리아의 일부 이집트의 영향권에 있는 전체 지역을 말하기도 한다. 아마르나의 한 문서(EA,36:15)에는 이 전체 지역을 가리켜 'the province of Canaan([p]ihati sa kinahi)' 으로 되어 있다. 바벨론 왕이 Akhenaten에게 보낸 서신에서 그는 호소하기를 바벨론 약대상(caravan)들이 약탈을 당하고 그의 백성들은 하부 갈릴리의 Hannathon(Hinnatuni)근처에서 살해당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말하기를 '가나안은 당신의 영토이며 그 곳의 왕들은 당신의 종들이니이다([Ca]naan is your land and [its ki]ngs are [your servants]-EA,8:25)'.

사실 '가나안'이란 말은 정치적인 의미로 바뀌었으며 가나안과 시리아의 남쪽을 포함하는 이집트 영역에 대한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대개 그 영역은 북쪽 Mitanni(later Hittite)까지 이르렀다. 이 두 왕국들은 당시 이집트의 가장 강한 적이었다.

혹자는 UgaritCanaan과 견주어 생각하기도 한다. 가나안에 있는 Tyre 왕의 서신에 의하면 그는 폭동 Ugarit의 횡포들을 듣게 되었고 그런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EA,151:49-58). 하지만 우가릿 문서에서는 가나안인을 이방인(foreign)으로 기록하였다. Seti I(c.1300B.C.)의 비문에는 p-kn-'n, 'the Canaan'으로 기록되었으며, Gaza는 가나안에 있는 이집트의 수도로 나타난다. Merneptah(c.1225 B.C.)의 기록에도 보면 p-kn'n은 이집트의 통치아래 있는 전체 지역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나타난다.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에 관한 성경의 기사에서 가나안의 경계는 위에서 언급한 지리적인 배경을 염두에 두고 있다(34:1-12). 이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로써 성경은 곧 고대의 여러 자료와 기사들을 담고 있음이 분명하다. 성경에서 논의될 수 있는 가나안에 관한 두 기록이 있다.

(1) 유다 지파에게 할당된 기업가운데 남쪽 경계부분 (15:1-4)

(2) 에스겔에 언급된 이스라엘의 영역에 관한 기록 (47:15-20, 48:1,28)

가나안의 경계는 사해의 남-동쪽 끝에서부터 시작한다. 이곳에서부터 가나안의 사방 경계는 정확한 지리적인 명칭과 함께 나타난다.

이상으로 우리가 살펴 본 이 모든 이름들은 서로 같은 기원이나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그 모든 말들은 한편으로는 이집트의 영향권 아래 다른 한편으로는 메소포타미아의 영향권 속에 놓여 있는 정치적 그리고 지리적인 하나의 단위로 이해를 하였다는 점에서 그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지리적인 경계는 족장들의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는 가나안의 경계와 서로 일치한다.성경에서 말하는 족장시대의 가나안의 경계는 이집트 시내 혹은 이집트 강으로부터 큰 강 유프라테스까지 그리고 사막과 홍해에서부터 대해 또는 블레셋 바다 곧 지중해까지를 그 지경으로 한다(15:18,23:31,1:7,11,24,1:4).

2) 가나안의 경계 (the Boundaries of Canaan)

(1) 남쪽 경계 (The Southern Boundary)

성경에서의 경계에 관해 서로 관련이 있는 세 부분을 아래에 정리해 놓았다. 민수기 34: 3- 5 너희 남방은 에돔 곁에 접근한 신 광야니 너희 남편 경계는 동편으로 염해 끝에서 시작하여 돌아서 아그람빔 언덕 남편에 이르고 신을 지나 가데스 바네아 남방에 이르고 또 하살아달을 지나 아스몬에 이르고 아스몬에서 돌아서 애굽 시내를 지나 바다까지 이르느니라.

여호수아 15: 1-4 유다 자손의 지파가 그 가족대로 제비 뽑은 땅의 극남단은 에돔 지경에 이르고 또 남으로 신 광야까지라 그 남편 경계는 염해의 극단 곧 남향한 해만에서부터 아그랍빔 비탈 남편으로 지나 신에 이르고 가데스 바네아 남편으로 올라가서 헤스론을 지나며 앗달도 올라가서 돌이켜 갈가에 이르고 거기서 아스몬에 이르고 애굽 시내에 미치며 바다에 이르러 경계의 끝이 되나니 이것이 너희 남편 경계가 되리라.

에스겔 47: 19, 48: 28 남방은 다말에서부터 므리봇 가데스 물에 이르고 애굽 시내를 따라 대해에 이르나니 이는 그 남방이요. 갓 지계 다음으로 남편 지계는 다말에서부터 므리바가데스 물에 이르고 애굽 시내를 따라 대해에 이르나니.

M. Noth는 여기에 열거되어 있는 지리적인 명칭들은 본래의 기록에서 취해졌을 것이며 동사들은 후대에 삽입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 이유는 두 병행 구절들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미 언급한대로 가나안의 남쪽 지경은 사해의 남-동쪽에서부터 시작된다. 여기에서의 아그랍빔 언덕은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일부 학자들은 아그랍빔을 Naqb es-Safa으로 생각하지만 이를 인정할 만한 아무런 증거는 가지고 있지 않다.

만약 신 광야가 멀리 가데스 바네아까지 이른다면 신(Zin)이 어디를 가리키는지 밝히는 일은 대단히 어렵다. 그런 점에서 선지자 에스겔은 아라바 북동쪽에 위치한 매우 중요한 성읍 다말(Tamar)을 언급한다. 사해의 남-동쪽에서부터 가나안의 지경이 시작된다 함은 아라바의 북-동쪽 소알(Zoar)과 혹은 주변 다른 성읍들 (10: 19, 1: 36)을 포함하는 곳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점에 큰 무리가 없다.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잇점이란 주변에 산재돼 있는 구리 광산과 왕의 대로(King's Highway)이며 또 엘랏과 서로 연결된 간선도로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엘아마르나(El-Amarna) 문서에 나타나는 Suhur (EA. 334, 335)는 가나안의 소알(Canaanite Zoar)지역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다음 경계 지역은 가데스 바네아의 남방이다. 이곳은 네게브 남쪽에 위치한 기름진 땅과 많은 샘이 있는 현재의 아인 엘 쿠데이랏('Ain el-Qudeirat)으로써 이곳을 가데스 바네아로 이해한다. 가데스 바네아 다음 장소는 민수기 34장에 단지 두 지역인 하살 아달과 아스몬만이 기록되었는데 반해 여호수아 15장에는 헤스론, 앗달, 갈가,그리고 아스몬의 네 지명이 나타난다. 'Ain el-Qudeirat 주위에는 세 개의 우물이 있는데 그것들을 동쪽에서부터 열거하면 아마도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하살 아달 - 'Ain Qedeis

갈가 - 'Ain Qeseimeh

아스몬 - 'Ain Muweilih

주전 10세기 때의 요새로 이용된 'Ain Qedeis는 성경에서 말하는 하살 아달이 틀림없다. 'Ain Qedeis부터 가나안의 경계는 이집트 시내(the brook of Egypt- Wadi el-'Arish)를 따라 지중해까지 이어진다. 이집트 시내는 가나안과 이집트를 서로 구분하는 자연스런 경계 지역이다.

(2) 서쪽 경계 (The Western Border)

민수기 34: 6 서편 경계는 대해가 경계가 되나니 이는 너희의 서편 경계니라

에스겔 47: 20 서방은 대해라

가나안의 서쪽 지경은 언제나 지중해 곧 성경에서 말하는 대해이다.

(3) 북쪽 경계 (The Northern Border)

민수기 34: 7-9 북편 경계는 이러하니 대해에서부터 호르산까지 긋고 호르산에서 그어 하맛 어귀에 이르러 스닷에 미치고 그 경계가 또 시브론을 지나 하살에난에 미치나니 이는 너희 북편 경계니라.

북쪽 경계를 정하는 중요한 장소 둘은 레보 하맛(Lebo-Hamath)과 스닷(Zedad)이다. 많은 학자들은 '레보-하맛'이 하나의 도시가 아닌 '하맛 어귀(the entrance of Hamath)' 'Orontes지역의 하맛'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레보(Lebo)가 하맛 왕국(the Kingdom of Hamath)의 경계 지역에 있는 매우 중요한 도시라는 것과 Ba'albek의 북쪽 오론테스 강의 수원지 중의 하나인 Lebweh를 가리킨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히브리 말로 ' ' '하맛 입구'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 ''레보-하맛으로부터(6:14)' 라고 해석을 해야지 '하맛 어귀에서부터'라고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것을 경계를 표시하는 도시들에 포함시켜 이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오로테스의 Kadesh남쪽 지역에 그 이름과 관련하여 생각할 수 있는 한 도시에 관한 자료가 있는데 여기에 관한 기록이 초기와 후기의 기록 모두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그 도시는 아마도 주전 19세기 말의 이집트 저주 문서(No.31.r-b-i)에 나오는 도시일 것이다. Thutmose III의 비문에도 l-b-n(r-b-n No.10)의 형태가 분명히 나타난다. 이것은 엘 아마르나(El-Amarna) 문서의 Labana와 동일한 것으로 Kadesh, Damascus, 그리고 the land of Amqi in the Beqa(EA,53)의 도성들과 함께 나타난다. Amenhotep II의 기록에도 지리적인 언급이 있는데 그것은 r-b-i 숲에서의 사냥에 관한 것이다. 바로 이 내용에 앞선 부분에는 오론테스의 Kadesh가 나오고, 그리고 다음에는 Ba'albek (El-Amarna에는 Hasabu라고 되어 있다)의 남쪽 'Amqi의 땅에 있는 도성 h-s-b가 기록되어 있다. Lebo 수풀 지역에 관한 기록은 Ramses IIKadesh전투를 기념하는 비문에도 나오는데 전쟁에 관한 기사 이전에 나타난다. Tiglath-pileser II의 점령에 관한 기록에도 하맛 땅의 Lab'u가 나타난다. 더 나아가 Antonius (Antonini Placentini, 6th century A.D)의 연감에도 보면 Libo라 이름하는 곳은 Laudicia(Kadesh)Heliopolis (Ba'albek)사이에 있는 Beqa' 지역을 통과해 가는 중요한 도로상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모든 내용들은 Lebweh에 아주 잘 맞아 떨어진다. 청동기 시대부터 아랍 시대까지의 매우 큰 텔(Tell)이 그 곳에서 발견되었다. 그 곳은 숲이 매우 울창한 지역으로 고대에는 사람들이 드문 드문 정착하여 생활하였으며 Beqa의 중간 지역에 있으면서 천연의 경계를 이루었다. 그 곳의 남쪽은 Amqi 지역으로써 아마르나 시대에 있었던 힛타이트의 침입을 영역의 침범으로 간주하였다. 앗시리아가 이 지역을 자신의 영토로 정하였을 때 하맛 지역의 남쪽 경계가 바로 이 근처를 지나갔으며 LeboKadesh사이에 있는 오론테스 지역의 Riblah는 느부갓네살(왕하23:33,25:21)의 통치때에는 하맛 땅에 속하였다. 하맛 경계는 에스겔 당시 가나안의 북쪽 경계 지역과 일치한다(47:16,48:1). 그리고 그는 레보-하맛 외에 브로다(Berothah)Beqa지역에 있는 아람-소바( Aram-zobah)왕의 도성인 하닷 에셀( Hadadezer)도 언급(삼하8:8)하고 있다. 그 곳은 현재 Ba'albek의 남쪽 Bereitan으로 이해한다.

이와같은 내용들은 다음에 언급하는 Zedad을 살펴봄으로 더욱 확실해 진다. Zedad이라는 이름은 오늘날 Sirion의 동쪽에 있는 마을 'Sadad'에서 발견된다.스닷은 사막의 언저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닷 다음으로 열거돼 있는 사막의 두 오아시스 지역들이 스닷의 동쪽에서 발견되었다. Hawwarin(Ziphron)Qaryatein(Hazar-enan)이 그 두 도시들이다.

레보-하맛의 서쪽으로는 단 하나의 지역만이 북쪽의 경계 지역으로 언급되어 있는 데 그 경계에 해당하는 호르 산은 네게브에 있는 호르 산처럼 신성한 장소로 간주되었다. 그것은 다름아닌 스닷과 레보-하맛을 서로 잇는 해안선 근처 레바논 산맥의 북쪽 정상 높은 산 봉우리중의 하나임에 틀림없다. 이 산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그래서 Tripolis의 동쪽 Jebel 'Akkar(7016 feets) Jebel Makmel(10046 feets)과 같은 레바논 산지중의 하나로 이해해 왔으나 그러나 이 산들은 남쪽으로 너무 치우쳐져 있고 해안 지역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사실상 호르 산과는 관계가 없다.

여호수아 13:4절 이하를 보면 얻을 땅의 남은 것을 이야기하면서 북쪽 경계를 다룬 부분이 있다. '가나안 사람의 온 땅과 시돈 사람에게 속한 므아라와 아모리 사람의 지경 아벡까지와 또 그발 사람의 땅과 동편 온 레바논 곧 헤르몬산 아래 바알갓에서부터 하맛에 들어가는 곳까지와 또 레바논에서부터 미스르봇마임까지의 산지 모든 거민 곧 모든 시돈 사람의 땅이라'. 여기를 보면 시돈 사람의 땅과 아모리 지경의 아벡까지 즉 레바논 북쪽 아모리 왕국을 가리키고 있는데 그러므로 우리는 여기에서 호르 산이 레바논 산맥 북-서쪽에 있는 아주 높은 산중의 하나인 즉 ByblosTripolis사이에 있는 Ras Shaqqah로 생각할 수 있다.

(4) 동쪽 경계(The Eastern Boundary)

여호수아 34: 8-10 너희의 동편 경계는 하살에난에서 그어 스밤에 이르고 그 경계가 또 스밤에서 리블라로 내려가서 아인 동편에 이르고 또 내려가서 긴네렛 동편 해변에 미치고 그 경계가 또 요단으로 내려가서 염해에 미치나니 너희 땅의 사방 경계가 이러하니라

에스겔 47: 18 동방은 하우란과 다메섹과 및 길르앗과 이스라엘 땅 사이에 있는 요단강이니 북편 지계에서부터 동해까지 척량하라 이는 그 동방이요

처음에 나오는 두 지역인 스밤과 리블라의 정확한 지점에 관하여는 아는 바 없다. 그런데 여기에서의 리블라를 Lebo의 북쪽 Lebanese Beqa' 에 있는 이미 우리가 언급한 바 있는 리블라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아인은 아마르나 문서(EA.256)에 나오는 the land of Gari(이는 아마도 성경의 '그술'을 가리킨다)Hayanu일 것이다. 이 도시는 오늘날의 Khirbet 'Ayyun으로써 야르뭇 강의 북쪽,갈릴리 바다의 동쪽 약 4.8Km떨어진 곳에 위치에 있다. 어쨋든 가나안의 동쪽 경계는 갈릴리 바다의 남-동쪽까지 이어져 있다. 그리고 '긴네렛 동편 해변'은 매우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곳에서부터 경계는 요단 강을 따라 사해까지 연결되며 그 다음은 경계가 시작되었던 원 지점으로 돌아 온다. 에스겔 선지자의 기록에 의하면 이 부분은 앗시리아와 바벨론의 영역으로써 다음의 두 지역 곧 HauranDamascus와의 사이,그리고 GileadIsrael(Samaria)과의 사이로 구분이 된다. 여기에서의 동해는 '사해'를 일컫는다.

가나안 땅의 경계를 정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장소를 확인하는 일에는 여러가지 불투명한 사항들도 있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는 가나안 땅의 경계를 성경의 기록에 근거하여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북쪽으로는 레바논과 시리온의 산지들을 포함하여 그 경계는 Kadesh의 남쪽 Lebo-Hamath에 있는 Lebanese Beqa를 지나간다. 그리고 북-동쪽의 경계는 사막의 언저리에까지 미치며 Damascus주변 지역을 포함한다. 우리는 바산 지역이 가나안 땅 경계에 포함된 것은 확실히 알고는 있지만 에스겔의 기록에서 제외되어 있는 하우란 산지(Mount Hauran-Jebel ed Druze)'가장 오랜 기록'에는 포함되어 있었는지에 관해서는 아는 바 없다. 이곳에서부터 경계는 남-서쪽으로 기울어져 대략 야르뭇 계곡을 따라 긴네렛 동편 해변에까지 미친다. 그러므로 길르앗과 트랜스 요르단의 남쪽 모든 지역은 경계의 영역에서 제외되었다. 남쪽으로의 경계는 이집트 시내와 바란 광야의 북쪽에 있는 매우 중요한 오아시스 지역인 가데스 바네아가 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정치적으로나 민족적으로 이런 경계 지역 전체를 차지하는 일에 실패하였다. 다윗 시대에 Lebanese Beqa 즉 다메섹까지 그 영향력이 미쳤다할 지라도 결코 페니키아 해안 시돈의 북쪽에까지는 미치지를 못 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길르앗 지역은 이스라엘의 거의 모든 시대에 걸쳐 이스라엘의 영역 속에 포함되었다.

주전 14-13 세기에 '가나안'이라는 이름은 이집트의 영향력속에 있는 팔레스틴과 시리아 지역을 일컫는 공식적인 명칭이었으며 이는 북쪽 힛타이트 왕국과의 경계를 이루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이집트의 가나안 지역에 대한 지식은 성경에서 언급하고 있는 부분과 잘 맞아 떨어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정확하게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지역들에 대해서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이집트의 기록을 통하여 그 정확한 경계 지역에 접근할 수 있겠다.

Ramses II(c.1270 B.C.) 통치 21년에 이집트는 Hatti와의 평화 조약을 체결함으로 아시아는 이 두 왕국에 의하여 둘로 분할되었다. 그런데 여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Ramses II에 의해 정복당하지 않았던 Orontes지역의 Kadesh는 힛타이트의 영역속에 있었다. 오히려 가나안의 가장 동쪽 지역에 해당하는 다메섹과 바산 주변 지역은 이집트의 통치하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길르앗이나 트랜스 요르단의 남쪽 지역은 주전 13 세기 이전 이집트의 문서에 전혀 언급이 없으며 고고학적 연구 역시 당시 이 지역들은 사람들이 주거하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Ramses II의 통치때에 해당하는 Papyrus Anastasi I에 보면 Sumur는 이집트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는 페니키아 해변의 가장 북쪽에 있는 도성으로 나타나 있다. 이 도시는 Eleutheros 강 어귀 Byblos의 북쪽에 있는 매우 잘 알려진 고대의 도시로 이 곳의 주민들에 대해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열국의 장'이라고 불리우는 창세기 제 10 장에서 그들은 가나안의 후손들의 하나인 아르앗족속(Arvadites)로 나타난다(대상1:16). 그리고 아마르나 문서를 통하여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Sumur 지역에 이집트 왕국의 건물이 있었으며 그 도시는 Amurru왕들이 다스렸다. Amurru왕국은 이론상으로는 Kadesh전투 전 이집트의 영역이었지만 그러나 후에는 Hittite의 영역속에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경계는 당시 Sumur Byblos사이에 형성되었다. 우리는 여기에서 이 지역의 정확한 경계를 가나안의 북쪽 경계에 속하는 Hor산으로 본다.

Ramses II때에는 이런 경계에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Thutmose IV의 통치 당시 Mitanni와의 사이에 이루어진 조약에서 Kadesh는 북쪽 세력의 가장 남쪽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나타나 있다. 비록 그 조약에 관한 문서는 남아 있지는 않지만 Kadesh는 그 이후에 속하는 힛타이트의 문서에 나타나며 이 곳은 나중에 SuppiluliumaMitanni로 부터 차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힛타이트와 이집트사이에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그 경계는 힛타이트와 Kadesh의 남쪽 이집트의 영역에 속하는 지역 사이에서 결정되었다. 문서는 없지만 Suppiluliuma의 아들인 MursiliAmqi지역인 즉 Lebo-Hammath의 남쪽 Litani계곡을 침략함으로 아버지와 이집트간에 형성된 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해 버렸다.

사실상 성경의 기록은 주전 13 세기 후반 가나안의 이집트 영역과 정확히 잘 들어 맞는다. 이런 사실은 고대의 기록이 성경에 잘 보존되어 있다는 하나의 증거로써 이와 비슷한 기록을 우리는 이스라엘의 신앙의 한 중심지였던 Shiloh에 보존되어 있었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그곳은 이스라엘 각 지파들의 신앙의 중심지였다.

가나안 땅은 이스라엘의 정착 시대에 속하는 여러 기록에 같은 의미로 자주 나타난다. 그러므로 트랜스 요르단은 이스라엘의 기업을 언급하는 가나안의 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13:12,33:18,32:32,35:14). 트랜스 요르단에 거주하는 지파들에 의해 ''이 세워진 이야기는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과 므낫세 반 지파가 가나안 땅 실로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떠나 여호와께서 모세로 명하신대로 얻은 땅 곧 그 소유지 길르앗으로 가니라(22:9)". 그리고 32절에는 "제사장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와 방백들이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성경에는 이 두 지파에 대해서만 기록하고 있다)을 떠나 길르앗 땅에서 가나안 땅에 돌아와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르러" 라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서 문제가 된 것은 길르앗 지역 지파들에 의해 세워진 '' 때문었다. "우리가 목적이 있어서 주의하고 이같이 하였노라 곧 생각하기를 후일에 너희 자손이 우리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너희가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희 르우벤 자손 갓 자손아 여호와께서 우리와 너희 사이에 요단으로 경계를 삼으셨나니 너희는 여호와께 분의가 없느니라 하여 너희 자손이 우리 자손으로 여호와 경외하기를 그치게 할까 하여 우리가 말하기를 우리가 이제 한 단 쌓기를 예비하자 하였노니 이는 번제를 위함도 아니요 다른 제사를 위함도 아니라 우리가 여호와 앞에서 우리 번제와 우리 다른 제사와 우리 화목제로 섬기는 것을 우리와 너희 사이와 우리의 후대 사이에 증거가 되게 할 뿐으로서 너희 자손으로 후일에 우리 자손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여호와께 분의가 없다 못하게 하려 함이로라(22:24-27)". 이 부분에서 우리가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길르앗은 확실히 가나안의 영역밖에 있었다. 그래서 이것을 걱정한 지파들은 요단 언덕 가에 ''을 쌓은 것이 되겠다.

열국의 장에서 보여 주는 가나안의 기록 역시 이를 잘 뒷 바침해 준다(10:15). 가나안의 장자는 시돈으로서 그가 차지했던 영역을 보면 다음과 같다. "가나안의 지경은 시돈에서부터 그랄을 지나 가사까지와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을 지나 라사까지였더라(10:19)". 다시 말하면 페니키아의 해안으로부터 이집트의 국경 부근에 있는 가장 중요한 남쪽 도시인 가사까지와 그리고 동쪽으로는 사해의 남쪽에까지 진출하였다.

네게브로부터 Lebo-Hamath까지의 전통적인 가나안의 경계는 그 외의 성경의 기록에서도 발견이 된다. "이에 그들이 올라가서 땅을 탐지하되 신 광야에서부터 하맛 어귀 르홉에 이르렀으며(13:21)". 이스라엘의 정복에 관한 기록 역시 이런 경계의 형태내에서 이루어졌다. 한편 남쪽으로 향한 가나안 정복은 "여호수아가 또 가데스 바네아에서 가사까지와 온 고센 땅을 기브온에 이르기까지(10:41)" 행해졌다. 그리고 북쪽에 관한 정복의 기사는 "세일로 올라가는 할락산에서부터 헤르몬산 아래 레바논 골짜기의 바알갓까지라(11:17,12:7)". 점령하지 못한 지역 중 북쪽 일부는 '얻을 땅의 남은 곳'으로 기록되었는데 그 지역을 보면 헤르몬산 아래의 바알-(Baal-gad)에서부터 Lebo-Hamath에 이른다(13:5,3:3).

가나안과 그 경계에 대한 정치적이고 민족들간의 상황은 이스라엘의 점령과 다른 여러 민족들의 개입,그리고 가나안 지역내 이집트의 세력 약화로 말미암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과거 이미 형성되었던 경계의 이미지는 사라지지 않았으며 그 내용이 이스라엘의 왕국 시대 말까지 계속되었다. Lebo-Hamath은 정탐군의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이스라엘 백성들의 동경의 한 장소로 남아 있었다(13:21). 다윗과 솔로몬의 시대(대상13:5,왕상8:65,대하7:8) 그리고 여로보암 2(왕하14:25,6:14)때에 다시금 Lebo는 이스라엘과 시리아의 북쪽 신 힛타이트왕국인 Hamath간의 국경 지역이 되었다. LeboHamath을 가리키는 뜻으로 서로 결합되었는데 그것이 잘못 이해되어서 Lebo-hamath'하맛 입구'라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스라엘 땅을 말할 때에 보통 사용하는 대명사적인 표현인 '단에서부터 브엘세바까지'에서는 가나안의 전통적인 지경 개념을 근거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레보-하맛에서부터 이집트의 시내까지(솔로몬),이집트의 시홀에서부터 레보-하맛까지(다윗),레보-하맛에서부터 아라바 바다(사해)까지,또는 와디 아라바까지(여로보암 2)를 생각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스겔 역시 선지자의 입장에서 전통적인 가나안 땅 지경을 염두에 두고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그는 이 땅을 이스라엘의 12지파를 위한 기업으로 나누고 있다(47-48).

[성경지명 설교] 가렙산 Gareb-여호와의 성지가 될 장소들

 

[성경지명 설교] 가렙산 Gareb-여호와의 성지가 될 장소들

오늘은 성경지명 설교 중에서 가렙산과 설교자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약의 성경지명은 하나님의 뜻이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의도를 원문에서 발견하여 설교에 적용할 수 있습니

rhb-bib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