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2장에서 바울은 말씀합니다. 율법이 없는 이방인은 율법 없이 망하고 율법이 있고 범죄한 자는 율법으로 망하게 된다고 말씀합니다. 율법을 받은 자가 율법을 어기면 심판을 받게 됩니다. 이방인들은 율법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양심으로 심판을 받게 됩니다. 하나님은 율법이 없는 이방인이나 율법을 받은 자나 똑같이 심판을 하십니다. 우리는 마지막 날 주님이 재림하실 때 심판받지 않을 것은 주님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양심으로 심판받는 이방인(롬 2:12-16)
12절 호소이 가르 아노모스 헤마르톤 아노모스 카이 아폴룬타이 카이 호소이 엔 노모 헤마르톤 디아 노무 크리데손타이
성 경: [롬2:12]
주제1: [유대인에 대한 심판]
주제2: [행위에 따른 심판]
본절에서 바울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요지는 율법을 받지 못한 이방인이든지 율법을 받은 유대인이든지 누구나 자신들의 죄로 인해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방인이나 유대인이나 하나님의 뜻을 알고 그 뜻에 순복했느냐 하지 않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율법 없이 범죄한 자는 - '율법 없이'(아노모스)라는 말은 부사로서 신약성경에서는 여기서만 사용되었다. '율법 없이'(아노모스)의 명사형 '아노미아'나 형용사형 '아노모스'는 대개 '불법'이나 '범법'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절의 경우에는 '율법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고전 9:21). 즉 '아노모스'는 14절의 '타 메노몬 에콘타'('율법을 갖지 아니한')와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 바, 계약을 맺어 율법의 기준에 따라 살기로 약속한 일이 없는 자들, 곧 써진 율법을 받지 않은 이방인들로 이해되어야 한다(행 2:23).
율법 없이 망하고...율법으로 말미암아 심판을 받으리라 - 바울은 율법 없이 범죄한 자들은 '망한다'(아폴룬타이)라고 서술하고 율법 아래서 범죄한 자들은 '심판을 받으리라'(크리데손타이)고 서술한다. 이 두 단어는 모두 수동태로서 하나님의 능동적인 보응이 있을 것을 시사한다. 율법을 받지 아니한 이방인들은 우주 만물과 양심에 나타내신 하나님의 뜻에 순복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파멸된 것이며(1:20), 율법을 받은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뜻을 잘 알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순종하지 않았으므로 율법의 기준에 따라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 특별히 유대인들이 '율법으로 말미암아' 심판을 받게 된다는 주장은 매우 중요한 사상이다. 바울은 율법을 자랑거리로 여기지 아니하고 죄인들을 정죄하거나 규제하는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율법은 심판의 기준이 되는 것이고, 율법 자체가 멸망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율법 아래서 범죄한 자들은 이 율법을 기준으로 심판받아 멸망에 이르게 될 것이다(J. Murray)
13절 우 가르 호이 아크로아타이 투 노무 디카이오이 파라 토 데오 알르 호이 포이에타이 투 노무 디카이오데손타이
성 경: [롬2:13]
주제1: [유대인에 대한 심판]
주제2: [행위에 따른 심판]
율법을 - 12절에서와 마찬가지로 '율법'(노모스)은 관사가 없이 사용되었다. 공인 본문(Textus Receptus, Majority Text)에는 정관사 '투'가 '노무'('율법의')앞에 있는데, 대부분의 고대 사본(A. B)에는 이 관사가 생략되어 있다. 그런데 '노모스'('율법')에 관사가 붙고 안 붙고에 따라 약간의 의미상 차이가 있다. (1) '노모스' 앞에 정관사 '호'가 붙으면, 거의 대부분 모세 율법을 의미한다. (2) '노모스' 앞에 관사가 붙어 있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모세의 율법이나 율법의 특정한 조문(條文)을 의미하기보다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로서 추상적인 법 개념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양심 속에 주어진 법이나, 자연적 계시 속에 나타난 법이나 어떤 순종을 요구하는 일반적인 개념의 법을 가리킨다. (3) 특수한 경우로서 관사가 생략되어 있으나 모세 율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하는 경우이다. 이는 헬라어 문법상 이미 알려진 어떤 확실한 개념을 보다 선명하게 나타내거나 그 단어의 본래적 개념을 강조하고나 할 때 관사를 생략하는 용법으로서 율법의 특수한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로 쓰인 경우가 있다. 만약 본절을 관사 없는 사본을 따라 해석한다 하더라도 '율법'은 12절의 '율법'과 같은 것으로서 모세의 율법을 뜻하는 특수한 경우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J. Murray).
듣는 자가 의인이 아니요 - 유대인들은 율법을 받았을 뿐 아니라 익히 배우고 들어서 잘 알게 되었다. 이것은 그들의 자랑거리다. 그렇지만 이 지식은 그들을 심판에서 제외시킬 수 있는 힘이 될 수 없다. 율법을 들었으면 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성경은 율법이 의의 법칙일지라도 그것을 행하는 사람만이 그것으로 인해 살리라고 가르친다(레 18:5;신 4:1). 그러나 본절은 행함으로 의롭게 되는 원리를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범죄할 수밖에 없는 죄인(3:23)이라는 사실을 부각시키기 위해 이 논리를 전개하고 있을 뿐이다.
의롭다 하심을 얻으리니 - 본서에서 '의롭다'에 해당하는 헬라어 '디카이오데손타이'가 처음으로 등장하고 있다. 유대인들은 단지 자신들이 율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의롭게 되리라고 생각했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문제가 달랐다(J. Murray). 글자 그대로 보면 '의롭게 된다'는 것이 율법을 행하는 자에게 해당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보다 근본적인 기준과 목적은 '하나님 앞에서'라는 말속에서 찾을 수 있다. 바울은 행함으로 의롭게 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편에서 보시는 판단에 의하여 칭의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14절 호탄 가르 에드네 타 메 노몬 에콘타 퓌세이 타 투 노무 포이에 후토이 노몬 메 에콘테스 헤아우토이스 에이신 노모스
성 경: [롬2:14]
주제1: [유대인에 대한 심판]
주제2: [행위에 따른 심판]
이방인이 본성으로 - 율법이 요구하는 바를 본성(nature)을 따라 부분적으로 행할 수 있을지 모르나 완전히 행할 수는 없으므로 이방인 역시 죄인일 수밖에 없다. 간혹 이방인도 율법의 행위를 수행하면 구원에 이를 수 있다는 논리를 펴는 자들이 있으니 이들은 바울이 전개하는 논리의 흐름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자들이다. 비록 본절이나 앞절(13절)에서 이방인이 본성으로 율법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표현하였지만 계속되는 바울의 논리는 어느 누구도 율법의 요구대로 완전히 순종할 수 없기에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가르쳐 준다(3:9, 19). 무엇보다도 본절은 율법을 받았다고 자랑하는 유대인들에게 율법을 받은 것 자체가 아무런 의미도 없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방인들도 양심의 법칙을 따라 율법이 요구하는 바 행위를 할 때가 있음을 가르침으로써 유대인들이 저지르는 어리석음을 경고하고 있다.
율법이 없어도 자기가 자기에게 율법이 되나니 - 인간은 그 본성에 심어진 양심과 생각 때문에 스스로 하나님의 율법에 직면하게 된다(J. Murray). 즉 인간들의 본성 속에 존재하는 도덕적 성향은 하나님의 일반적 계시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서 명령하거나 금지하는 양심의 소리를 수반한다(Murray). 이방인들은 유대인의 율법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그들은 본래적인 양심의 법을 따라 일반 계시의 도움을 받아서 하나님의 계시를 유비적(類比的)으로 받는다. 그러나 그들의 율법은 궁극적인 구원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방인이 갖는 양심의 법은 간혹 모세 율법과 비슷한 법과 규례를 가질 수 있으나, 율법의 궁극적인 의미에는 전혀 도달할 수 없다.
15절 호이티네스 엔데이크뉜타이 토 에르곤 투 노무 그랍톤 엔 타이스 카르디아이스 아우톤 쉼마르튀루세스 아우톤 테스 쉬네이데세오스 카이 메탁쉬 알렐론 톤 로기스몬 카테고룬톤 에 카이 아폴로구메논
성 경: [롬2:15]
주제1: [유대인에 대한 심판]
주제2: [행위에 따른 심판]
그 양심이 증거가 되어 - '양심'에 해당하는 헬라어 '쉬네이데시스'는 문자적으로 '함께 안다'라는 의미로서 본절에서는 '함께 증거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쉼마르튀루세스'와 함께 쓰여 사람의 마음속에서 연대적으로 증거하므로 율법처럼 증인으로서 그 역할을 감당한다는 뜻으로 쓰여졌다. 양심은 인간이 마음속에서 자신의 행동을 살피면서 때로는 자신을 정죄하기도 하며, 율법과 일치한 행동에 대하여는 스스로 선한 증거로 인정하기도 하는 인간의 '바른 인식의 주체'인 것이다(고전 8:7-12). 칼빈(Calvin)은 양심을 정의하면서 '합리적인 행위에 대하여서는 변호하며 악한 행실에 대하여서는 고발하고 유죄 선고를 내리기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양심은 타락한 인간의 마음속에 남아 있는 도덕적 성품을 보여준다(고호 4:2). 그러나 양심에 화인 맞은 자들은 계속해서 죄 가운데 자신을 방치하여 스스로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하는 거짓 속에서 멸망으로 나아간다(갈 6:3;딤전 4:2;딛 1:15).
송사하며 혹은 변명하여 - 이것은 인간의 마음속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각이 갈등상태에 놓여 있음을 보여 준다. 즉 사람이 어떤 잘못을 범했을 때 그 행위가 잘못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 한쪽에서는 그것을 합리화시키려는 생각이 일어난다. 이러한 갈등이 반복되는 상태가 모든 사람의 내부에 존재한다. 이것이 곧 인간의 양심에 새겨져 있는 율법적인 요소인 것이다.
율법의 행위 - 율법에 따르는 행위로 해석되기보다는 율법적인 요소가 인간의 양심 가운데 활동하며 그것이 행위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어떤 행위를 통해 양심의 갈등을 느낀 후에 이전보다 나은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 '율법의 행위'라고 할 수 있다.
16절 엔 헤메라 헤테 크리네이 호 데오스 타 크륍타 톤 안드로폰 카타 토 유앙겔리온 무 디아 이에수 크리스투
성 경: [롬2:16]
주제1: [유대인에 대한 심판]
주제2: [행위에 따른 심판]
내 복음에 이른 바와 같이 - 본 구절은 문자적으로 '내 복음을 따라'(카타 토 유앙겔리온 무)로 번역될 수 있다. 이 말은 바울 자신이 전파한 복음을 근거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하여 이야기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바울은 '내 복음'이란 표현을 취했는데, 이것은 협소한 의미로 사용되어 '이신 칭의'의 교리에 대한 것이 아니라 바울이 전파한 모든 내용을 가리킨다. 초대 교육 교부들은 이것을 '누가복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으나(Origen, Jerome) 여기서는 바울의 전파 내용 중 종말론적인 설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편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바울이 본절에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바울은 '내 복음'이란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복음'의 출처가 자기 자신인 것처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바울의 사도적 권위와 깊이 연관되는 표현으로 바울 자신이 예수께로부터 사도로 세우심을 받아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한다는 인식을 드러내 주며 자기가 그 복음을 위해 택정함을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명백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바울은 이러한 부르심에 대해 전인격적으로 반응한다는 뜻에서 복음을 자신의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 이 용어가 원문에서는 '내 복음에 이른바와 같이'라는 구절 뒤에 따라 나오지만, 굳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주어진 복음과 연결 지을 필요는 없다(Calvin). 오히려 본 구절은 하나님의 심판이 하나님의 단독 사역이 아니라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자(요 5:27;행 17:31)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복음이 성취되어 인간들에게 주어졌듯이 그 복음으로 인한 심판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실행되는 것이 정당한 절차일 것이다. 예수께서도 심판 날 왕권을 가지고 오실 것을 말씀하셨다(마 16:28).
사람들의 은밀한 것을 심판하시는 - 심판 날에는 감추인 것이 하나도 남김없이 모두 드러나게 된다(고전 4:5). 예수께서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외식을 신랄하게 비판하신 것도 어떤 면에서는 마지막 날에 있을 심판에 대한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 앞에서는 선하게 행동하고 선한 말을 했을지라도 하나님께서는 사람의 중심을 보시기에 외식하는 자들의 마음과 생각을 심판 날에 남김없이 드러내실 것이다(마 12:36, 37).
그 날이라 - 이에 해당하는 헬라어 '엔 헤메라'는 문장 맨 앞에 위치하여 강조적으로 사용되었다. 바티칸 사본(B;codex Vaticanus)에서는 정관사 '헤'가 표기되어 있는데 문법상으로는 맞는 듯하다. 그러나 이처럼 정관사를 생략하는 것은 바울의 서술 방법 중 하나이다(12절). 더욱이 5절에서 '그날'에 대해 언급하면서 정관사를 사용했기 때문에 굳이 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고 본절에서는 내용 자체가 마지막 심판 날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으므로 생략한 것 같다.
[마태복음 산상수훈 헬라어 강해] 세상의 소금과 빛인 성도(마 5:13-16)
'르호봇 히.헬라어 주석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히브리어 성경 주석 강해]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창 2:1-7) (0) | 2022.01.22 |
---|---|
[욥기 히브리어 주석 성경말씀] 시작은 미약하지만 나중은 창대하리라(욥 8:1-7) (0) | 2022.01.19 |
[시편 10편 히브리어 주석 성경말씀] 가난한 자를 잊지 마옵소서(시 10:10-18) (0) | 2022.01.19 |
[요한계시록 헬라어 주석 성경말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계 1:1-3) (0) | 2022.01.19 |
[마태복음 산상수훈 헬라어 강해] 세상의 소금과 빛인 성도(마 5:13-16) (0) | 2022.01.19 |
[창세기 히브리어 성경 강해] 사래를 누이라고 속인 아브람(창 12:14-20) (0) | 2022.01.02 |
[로마서 헬라어성경 주석 강해말씀]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않는 하나님(롬 2:6-11) (0) | 2022.01.02 |
[헬라어 성경말씀 마가복음 강해] 나사렛 예수여 무슨 상관입니까?(마 1:21-28) (0) | 2022.01.01 |